알고리즘 공부(11)
-
알고리즘 문제풀기 (JS입문) - 문자열을 숫자로/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문제 / 문자열을 숫자로 문자열 s를 숫자로 변환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 조건 s의 길이는 1 이상 5이하입니다. s의 맨앞에는 부호(+, -)가 올 수 있습니다. s는 부호와 숫자로만 이루어져있습니다. s는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예를들어 str이 "1234"이면 1234를 반환하고, "-1234"이면 -1234를 반환하면 됩니다. str은 부호(+,-)와 숫자로만 구성되어 있고, 잘못된 값이 입력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function solution(s) { var answer = 0; return answer; } 내가 푼 답 function solution(s) { answer = Number(s); return answer; } 다른 사람이..
2022.12.24 -
알고리즘 문제 풀기 (JS입문) - 두 정수의 합 / Math.abs() 메소드
문제 두 정수 a, b가 주어졌을 때 a와 b 사이에 속한 모든 정수의 합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a = 3, b = 5인 경우, 3 + 4 + 5 = 12이므로 12를 리턴합니다. 제한 조건 a와 b가 같은 경우는 둘 중 아무 수나 리턴하세요. a와 b는 -10,0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a와 b의 대소관계는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예제 a b return 3 5 12 3 3 3 5 3 12 function solution(a, b) { var answer = 0; return answer; } 내가 푼 답 unction solution(a, b) { var answer = 0; if (a
2022.12.23 -
알고리즘 문제풀이 (JS입문) - 콜라츠 추측
문제 설명 1937년 Collatz란 사람에 의해 제기된 이 추측은, 주어진 수가 1이 될 때까지 다음 작업을 반복하면, 모든 수를 1로 만들 수 있다는 추측입니다.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1-1. 입력된 수가 짝수라면 2로 나눕니다. 1-2. 입력된 수가 홀수라면 3을 곱하고 1을 더합니다. 2. 결과로 나온 수에 같은 작업을 1이 될 때까지 반복합니다. 예를 들어, 주어진 수가 6이라면 6 → 3 → 10 → 5 → 16 → 8 → 4 → 2 → 1 이 되어 총 8번 만에 1이 됩니다. 위 작업을 몇 번이나 반복해야 하는지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 단, 주어진 수가 1인 경우에는 0을, 작업을 500번 반복할 때까지 1이 되지 않는다면 –1을 반환해 주세요. 제한 사항 입력..
2022.12.21 -
알고리즘 문제풀기 (JS입문) -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문제 새로 생긴 놀이기구는 인기가 매우 많아 줄이 끊이질 않습니다. 이 놀이기구의 원래 이용료는 price원 인데, 놀이기구를 N 번 째 이용한다면 원래 이용료의 N배를 받기로 하였습니다. 즉, 처음 이용료가 100이었다면 2번째에는 200, 3번째에는 300으로 요금이 인상됩니다. 놀이기구를 count번 타게 되면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금액에서 얼마가 모자라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단, 금액이 부족하지 않으면 0을 return 하세요. 제한사항 놀이기구의 이용료 price : 1 ≤ price ≤ 2,500, price는 자연수 처음 가지고 있던 금액 money : 1 ≤ money ≤ 1,000,000,000, money는 자연수 놀이기구의 이용 횟수 coun..
2022.12.19 -
알고리즘 문제 풀기 (JS입문) - 짝수 홀수
문제 정수 num이 짝수일 경우 "Even"을 반환하고 홀수인 경우 "Odd"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num은 int 범위의 정수입니다. 0은 짝수입니다. 예시로 3은 "Odd", 4는 "Even" function solution(num) { var answer = ''; return answer; } 내가 푼 답 function solution(num) { var answer = ''; if (num % 2 === 0){ return "Even" } else { return "Odd" } return answer; } - if문을 사용하여 '만약 num을 2로 나눴을때 나머지가 0이라면' 으로 가정을 하고 0이라면 "Even"을 반환하고 0이 아니라면 "Odd"를 반환하라고 ..
2022.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