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저 저장소에 대해서 알아보자

2023. 3. 31. 14:10웹개발 메모장

728x90
SMALL

 

브라우저 저장소

  • 웹 스토리지 : 웹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저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키-밸류 형식의 저장소
  • 쿠키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지속적인 데이터 교환을 위해 만들어진 키-밸류 형식의 저장소

 

| 웹 스토리지

  로컬 스토리지 세션 스토리지
데이터 유지 브라우저 종료시 보관 브라우저 종료시 삭제
데이터 범위 동일한 도메인 전역 공유 브라우저간 공유 안됨

로컬 스토리지와 세션 스토리지의 차이점은 영구성과 범위에 있다.

* 도메인이 같더라도 브라우저가 다르면(탭 브라우저, 다른 브라우저) 브라우저 컨택스트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세션 스토리지가 형성되어 데이터 공유가 되지 않는다 

 

| 쿠키

우리가 HTTP 요청을 보낼때 서버에 특정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요청 자체만으로는 이 요청이 누가 보낸 것인지 알 수 없다. 이 때 우리는 쿠키에 정보를 담아서 서버에 보내면 서버는 쿠키를 읽어서 요청자를 파악한다. 쿠키는 4KB의 용량 제한을 가지고 있으며 한 사이트당 20개의 쿠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쿠키는 만료기한을 지정할 수 있다. 쿠키는 서버와의 통신을 목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더 주의해야 된다. 쿠키에 쓸데없는 값이 많다면 그만큼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하게 된다.

 

쿠키의 목적

  1. 세션 관리 : 서버가 알아야될 정보 ( 로그인 및 사용자 정보 , 접속시간 )
  2. 개인화 : 사용자에 맞는 페이지 제공
  3. 트래킹 : 사용자 행동 및 패턴 분석

 

 

웹 스토리지와 쿠기의 차이점

웹스토리지는 쿠키와 달리 서버에 전송되지 않고 명시적으로만 전송 가능하기 때문에 서버에 부담이 가지 않는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만 꺼내 쓰는 것임으로 자동 전송의 위험성이 없으며, 다른 오리진이 요청할 때에는 꺼내쓰고 싶어도 오리진 단위로 접근이 제한되는 특성 덕분에 값을 꺼내 쓸수 없다.(CSRF) 웹스토리지는 쿠키에 비해 용량이 넉넉하다.

 

 

> 참고 사이트에 코드 예시도 있으니 확인하면 좋을 것 같다.

728x90
LIST

'웹개발 메모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st 키워드에 대해  (0) 2023.04.03
require와 import차이점  (0) 2023.04.03
this 가 동작하는 원리와 용법 그리고 차이  (0) 2023.03.31
HTTP 란? HTTPS 는?  (0) 2023.03.30
캐시란 뭘까? 장단점  (0) 2023.03.29